반응형
신소재 보온재 적용을 통한 보온효율 향상
1. 개선 전
○ 현재 설치 운영되고 있는 배관 보온재 특히 증기배관에 설치된 Glass Wool 보온재는 설
치연수의 경과로 인하여 보온효과가 떨어지며, Glass Wool 보온재의 특성상 물의 침투
가 발생될 경우 보온효과가 거의 제로로 떨어지는 현상이 발생된다.
○ 과거 보온재의 시공 시 시공 기준은 배관 발열량을 절감시키는 목적이 아닌, 배관 접촉
시 인명을 보호하는 Protect 개념의 보온방식이었다. 인명을 보호하는 목적으로 배관 보
온재 표면온도는 45℃를 시공 표준으로 하였으므로 에너지 절감이 최우선 시대에 맞는
보온방식이 필요하다.
2. 개선 후
○ 현재 설치된 Glass Wool 보온재를 에어로젤 신소재 보온재로 교체하여 보온효율을 높이
도록 한다.
※ 제시된 절감량 계산방법은 해당 절감기법의 효과를 파악하는 개략적인 방법이며, 제시된
수치는 공식적으로 검증된 것이 아닌, 참고사항임
참고문헌
1. 한국에너지공단, 보일러_에너지절약_Guide, 2014
마이 홈플러스, 홈플퀴즈 및 쿠폰 포인트 등의 이벤트 혜택!
반응형
'에너지절감' 카테고리의 다른 글
고온용 이중보온관, 열이송 시스템 기술동향 (0) | 2021.09.03 |
---|---|
분리형 히트파이프를 이용한 고효율 폐열회수장치, 열이송 시스템 (0) | 2021.08.23 |
냉각시스템 개선, 열이송 시스템 (0) | 2021.08.17 |
응축수 회수배관 개선, 열이송 시스템 (0) | 2021.08.16 |
증기 및 응축수 시스템 합리화, 열이송 시스템 (0) | 2021.08.15 |
댓글